1769년 볼테르가 처음 사용한 용어이며, J.G.헤르더 및 G.W.F.헤겔 등이 정착시켰다. 역사과정의 전개원리(展開原理)를 추구하는 역사존재론(歷史存在論:광의의 역사형이상학)과 역사인식의 성립근거 및 역사학의 방법론을 추구하는 역사인식론으로 구분된다.
역사존재론
G.B.비코는 볼테르보다 먼저 제민족 문화의 발전을 신적(神的)·영웅적·인간적인 시대로 나누어, 역사의 근대적인 의미에서의 발전관(發展觀)을 제시했다. 헤르더와 I.칸트는 그것을 인간성의 완성을 목표로 하는 자연의 계획의 실현과정으로 보았다. 헤겔은 세계사의 실체를, '특수적인 민족정신'의 흥망을 '이성의 교지(狡智)'에 의해서 지배하는 '세계정신'으로 보고, 세계사 과정을 자유 이념의 발전으로서 파악했다.
즉, "동양에서는 한 사람만이 자유이고, 그리스·로마에서는 몇몇 사람이 자유이며, 게르만 세계에서는 우리 모든 인간이 절대적으로 자유라는 것을 알고 있다"라고 하였다. 이 헤겔의 역사관을 '관념론'이라 하여 비판했던 마르크스-엥겔스는 '사적 유물론(史的唯物論)'을 확립하여 물질적인 생활의 생산을 토대로 하는 '자연사적 과정'으로서 파악하는 객관적인 역사법칙의 인식과 거기에 입각하는 실천을 제창하였다.
역사존재론은 세계사의 실체(實體)를 ① 초경험적·초세계적인 존재자 안에서 구하는 협의(狹義)의 역사형이상학(歷史形而上學), ② 정신·문화의 전통이나 인간정신의 전개 안에서 구하는 관념론, ③ 지리적·인종적인 자연조건이나, 물질적 생산의 내부관계 안에서 구하는 유물론으로 대별할 수 있다. 어느 쪽이든간에 역사과정에 어떤 필연을 인정하는 이상, 거기에서 개인의 자유가 어떻게 존립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또 그러한 필연성의 인식가능성의 근거도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역사인식론
역사인식론은 일반적으로 ① 현존하는 사실에 입각하여 현재의 역사가가 과거의 사건에 관하여, ② 단순히 존재했던 사실이라고 할 뿐만 아니라, 역사에 기재할 만한 중요성을 선택적으로 인정한 다음, ③ 자유로운 주체로서의 타인의 사상·판단·행동 및 집단의 문화·가치·습관에 관한 것도 포함하여, ④ 시간적인 전후의 사상(事象)간의 연관, 특히 인과연관(因果聯關)을 분명히 하고저, ⑤ 사실을 기재하고 법칙을 포착하며, 원인·목적을 설명한다는 사실의 객관성을 문제로 삼는다.
여기서는 역사인식이 자연인식과 등질적(等質的)인가 아닌가가 항상 문제되며, 그 문제에 대한 해답은 흔히 역사의 존재론을 전제로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역사철학 [philosophy of History, 歷史哲學] (두산백과)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6274&cid=40942&categoryId=3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