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 | 철학·상담학과
본문바로가기
ender
커뮤니티
자료실

자료실

언어의 두 기능
작성자 철** 작성일 2017-12-27 조회수 145

언어의 두 기능

 

'강아지'란 말은 이 표현의 객관적 대상, 즉 실제로 우리가 만지고 볼 수 있는 구체적인 개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이 '강아지'란 말과 구체적 개와의 관계를 앎으로써 우리는 비로소 '강아지'란 말의 진정한 뜻을 알게 된다. 이와 같은 것이 언어가 갖는 가장 큰 기능 중 하나이긴 하지만 이것이 모든 언어의 기능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언어는 이 밖에 또 다른 기능도 갖고 있다. 언어는 반드시 대상을 기록하는 데만 쓰이지 않고 대상이 없어도 충분히 그 뜻을 가질 수 있다.

요약하면, 언어에는 인식적 기능과 비인식적 기능이 있다. 인식적 기능을 가질 때의 언어는 어떤 사물이나 생각을 기록하거나 혹은 어떤 이론을 전개할 경우에 쓰는 언어로서 지식(앎)과 직접 관계된다. 다음과 같은 언어사용의 경우가 이에 해당하는 예가 되겠다.

① 복순이의 얼굴은 둥글다.
② 하나에 둘을 더하면 셋이다.
③ 복순이의 얼굴이 검은 것은 햇볕에 탔기 때문이다.

①과 ②의 경우 언어는 어떤 객관적 사실을 있는 그대로 기록하는 것이며, ③의 언어는 어떤 객관적 사실에 어떤 판단이 추가되어 있다. ①, ②는 모두 원칙상 언어를 쓰는 사람의 감정이나 태도와 완전히 독립된 객관적 사실이나 사건을 기록한 것이다. 이것이 앞서 말한 언어의 인식적 기능이다. 이와 반대로 비인식적 기능을 가질 때의 언어는 어떤 사실이나 사건을 평가하는 데 쓰이거나, 혹은 어떤 것을 주관적으로 표시하는 데 쓰이는 경우에 해당한다. ④ 복순이의 얼굴은 예쁘다. ⑤ 복순이의 마음은 착하다 등이 그 예이다.

또한 복순이가 화를 내며 어린 동생을 때리려고 하는 것을 목격한 그녀의 엄마가 ⑥ "복순이 착하지" 라고 할 때도 ④, ⑤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언어는 ④와 ⑤의 예에서와 같이 어떤 사실이나 사건을 객관적 대상으로서 기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지 않고, 어떤 대상 앞에서 언어사용자의 주관적 태도 또는 느낌을 나타내거나 ⑥의 경우처럼 언어사용자의 소원을 표할 수도 있다. 특히 ⑥의 경우는 그 말을 쓰는 사람이 "복순이는 착하다"라고 단순히 평가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런 말을 통해서 복순이가 화를 내지 말 것을 바란다는 뜻이 동시에 포함되어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언어의 두 기능 (박이문의 문학과 철학 이야기, 2005. 5. 10., ㈜살림출판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18832&cid=41884&categoryId=41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