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 | 철학·상담학과
본문바로가기
ender
커뮤니티
자료실

자료실

강치를 알아보자
작성자 철** 작성일 2017-07-12 조회수 1265

'인간 욕심' 때문에 멸종한 동물 12종

사진 출처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253495

 

특징

지금은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동해 연안에 서식하는 바다사자의 일종으로 오징어, 물고기 등을 잡아먹고 산 것으로 추정된다. 학자에 따라 캘리포니아 바다사자는 3아종으로 나뉘는데 캘리포니아지역에 서식하는 캘리포니아 바다사자(Zalophus californianus), 갈라파고스군도지역에 서식하는 갈라파고스 바다사자(Zalophus wollebaeki), 연안에 서식하는 강치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 3종을 각각의 고유종으로 분리하자는 의견이 다수이다. 3종 중 캘리포니아 바다사자는 비교적 안정된 수를 유지하고 있으나, 갈라파고스 바다사자는 멸종위기 상태이며 강치는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도를 비롯한 동해연안에 19세기만 해도 약 30,000~50,000여 개체가 서식했었으나 1950년대에는 300여 마리가 남아 있다가 이후 잘 발견되지 않아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 멸종 이유는 일본강점기에 가죽을 얻기 위해 다케시마어렵회사의 남획으로 그 수가 급격히 줄고 이후 지속된 어업과 수렵을 원인으로 꼽는다.

오징어, 물고기 등을 잡아먹고 산 것으로 생각된다.

생생스토리

독도는 강치의 천국 : 독도에는 가제바위 등 주변에 강치과 쉬기에 좋은 바위가 많고 난류와 한류가 뒤섞여 먹이가 풍부해 강치들의 주요 번식지이자 서식지였다. 그래서 '강치의 천국'이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19C들어 일본 어부들이 한 해에 많게는 3,000~3,200마리를 잡았으며, 이후 포획량이 줄어 년간 2,000마리 1,000마리 정도 남획하다가 결국 멸종되었다고 한다. 푸른울릉 · 독도가꾸기모임 이예균 회장은 "일본 자료를 살펴보면 독도는 단순히 바다사자가 살던 섬이 아니라 바다사자의 최대 번식지였다."며 "일본의 다케시마어렵회사가 1905년부터 8년 동안 독도에서 1만4천여 마리나 집중 포획하면서 바다사자가 멸종의 길로 접어들었다."고 말했다. "50년대 독도의용수비대가 활약할 당시만 해도 20~30마리씩 떼를 지어 독도 연안에서 서식하는 장면이 목격되었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강치 (서울동물원 동물정보, 서울동물원)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42312&cid=46677&categoryId=46677